반응형 치료11 표현예술 치료학 : 트라우마와 예술작품 포스트모던 적 사상가들의 주장으로 의하면, 인간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경험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 줄 원리를 발견하고 하는 욕구가 있다. 이것은 경험의 혼란스러운 카오스적 변화에 저항할 수 있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실존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포스트모던의 관점에서 보면 필연적으로 실패하게 되는 사실이었다. 신도, 절대자도, 자아도, 자기 자신도 계속해서 변화하는 경험들로 인해 고유한 카오스와 다양성에 저항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 포스트모던의 사상가들은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무정형성'과 '다양성'을 전체적인 틀 속에서 강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나타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다. 대신에 상상할 수 있는 자유로운 유희가 나타나도록 돕는다면, 우리는 경험의 무상함을 지탱할 수 있는 방.. 2024. 11. 1. 표현예술 치료의 철학 : 세계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poiesis-5 poiesis의 개념이 어느 정도 표현예술치료의 철학에서 중심개념으로 가능할 수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poiesis는 표현예술치료 철학의 인간관을 정립하는 데 가장 적절한 개념이다. 그러나 이 개념을 세계 속의 존재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관련시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poiesis는 현대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아리스토텔레스는 3가지 유형의 앎을 제시하였다. 관찰에 의한 앎, 행위에 의한 앎, 그리고 만들기에 의한 앎이 그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시대의 철학적이고 과학적인 이해가 가능한 지적 행위로 '테오리아'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앎으로 간주되었다.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세계에 관한 앎과 참여활동을 통해 앎을 가리키는 '프락시스'는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의.. 2024. 11. 1. 표현예술 치료의 철학 : 세계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poiesis-4 세계와 지구 : 진실을 드러내는 것으로서의 예술 '세계'는 나의 경험 혹에서 나에게 나타나는 모든 것의 맥락이 된다. 현상학은 세계가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세계를 탐구해야 한다. 그러자 이러한 질문이 뒤따른다 : 나 자신의 무와 직면하게 되었을 땐 경험하는 두려움 이외에 세계가 그 자신을 드러내는 근본적인 경험이 되겠는가? 하이데거의 후기 저술에서 세계가 자신을 드러내는 본질적인 방식을 논의하기 위해 예술작품의 경험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예술작품의 경험에 대해 논의를 집중함으로써 그는 현존재의 비토 대적 특성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하게 된다. 토대의 결여는 내가 나의 유한성을 완전하게 이해한 무서운 자유를 통해 드러난다고 말이다. 일정한 시간 동안 하이데거는 진정한 실존의 가능성을 독일 나.. 2024. 11. 1. 표현예술 치료의 철학 : 세계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poiesis-2 모더니즘 그리고 마음과 신체의 분리 심신이원론 고전적 형태는 르네 데카르트의 논의에서 발견되었다. 데카르트는 지금까지 계속해서 이원론적인 전통을 열어 놓은 장본인이다. 이원론적 전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카르트의 논의가 의도했던 문제의 역사적인 맥락을 고찰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데카르트는 근대과학이 막 태동하기 위해 시작할 때 학문적 활동을 하고 있던 철학자였다. 갈릴레이에 의해 제안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수학적 사고는 그 당시 지배적인 교회의 교리에 의한 세계관에 대해 큰 도전을 불러일으켰다. 그래서 데카르트의 과제는 인간의 영적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대과학에 기초하여 자연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그가 선택한 방법은 철학적인 사고의 급진적 비판 기능을 말하는 회.. 2024. 10. 31. 표현예술 치료의 철학 : 세계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Poiesis-1 모든 치료적 실천은 치료의 특별한 활동들이 이해될 수 있는 철학적 이론을 내포하고 있다. 독일어로 인간존재의 개념을 가리키는 '맨쉔빌트'는 글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사람의 이미지 또는 그림을 뜻한다. 여기에서 '그림'이라는 단어는 표현예술 치료 분야에서 아주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이 단어는 이미지를 뜻한다. 그리고 이 같은 의미에 이 개념은 예술에 중심적인 개념인 '상상'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명사인 'Bildung'이 육성과 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 같이 '그림'은 구성되고 형성되는 것인 '형성'의 의미를 지닌다. 'Bildung'의 개념은 특히 서양미술과 문학을 통해 젊은 사람들이 교육되고 성인으로서 성장한다고 본 휴머니즘의 전통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의 전통적인 개.. 2024. 10. 31. 이전 1 2 다음 반응형